언매황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9.orbi.kr/00063546165
'향기가 은은한 매화가 피었다.'
이 문장의 관형절 '향기가 은은한'에서 생략된 성분을 살린 문장이 '(매화의) 향기가 은은하다.', '(매화가) 향기가 은은하다.' 둘 중 무엇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지(아니면 둘 다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념으로 뱃지 새로 신청하고 옴요 레츠기릿
-
대수=수1이고 미적분1=수2 라 하셨는데 그러면 현 미적분에 해당하는 2022...
-
오르비에 한 분 더 계신데 안 오시네
-
내신 CC를 맞은것인가 아니면 서울대의 알려지지 않은 동점자 처리 기준에 따른...
-
아니 원래 그게 정상인가?
-
올해 합격자만 받습니다
-
홍대 ㄱㄴ? 3
-
설컴 합격 4
-
흐흐흐
-
설의쓰신걸로아는데
-
있음??
-
할머니와 10년전 서울대투어 이후 서울대에 오겠다고 했던 약속 10년이 지나 지킬...
-
오르비 활동 재개한지 일주일째 슬슬 은테를 달때군요
-
역시 최상위권 커뮤
-
[https://youtu.be/MxWEAK3Zc2M?si=6Eqh-O4l6giEVB...
-
홍대 작년 두바퀴반 제작년 3바퀴 돈 중간공인데 이번년도에도 비슷할까요? 이번에...
-
배부르다 4
피자에 비빔면에 초콜렛에 과자까지 흠.. 너무많이먹엇어
-
너무바쁘네 1
여행 오티 시험 과외 일정 관리가 개빡셈
-
죽음 이후.
-
과에서 중간정도 아웃풋이면 좋은 대기업 가는건가?
-
전업과외로 주 5회 과외해서 bmw한대 뽑아야겠다
-
아 인지부조화 온다
-
제가 금액적으로 손해보는 기분이 드는데.. 흠 뭐라하긴 좀 그른가..
-
운지존나마렵네 2
ㅠㅠㅠㅠㅠㅠ
-
부담스럽나요? 보면 이쁘진 않은데 성격 싹싹하고 밝은 여자에겐 말 자주하고 편하게...
-
유네유네 등등..
-
문디컬은 폭인거 같은데..
-
2018년 졸업자 아웃풋입니다. 과거에도 잘갔네요~ 산업대 인식이 약간 남아 있었던...
-
[경제칼럼] 25수능 11번으로 알아보는 비교우위 문제의 심화 8
반갑습니다 경제 시작한지 2?일차 뉴비에요 개념 대충 끝내고 바로 박아봤을때는...
-
점공상 65등분입니다 393점대 가는건 확정
-
홍대 경제 예비 0
홍대 경제 예비 87…가망없을란가요…
-
순수 본인돈으로 하는건가요 지원ㅇ금이 따로있나..? 궁금합니당
-
서울대 합격하신분 너무나 축하드립니다!! 그동안 고생한것 보상받을 만큼 행복하고...
-
국어 어렵네 0
애마하다 애매해 망망대해에 있는 느낌이네
-
다들 추카추카 4
고생했다
-
달라진게 하나도 없네
-
...?
-
60명 뽑는 과이고 작년이랑 제작년엔 충원률 400퍼 넘게 돌던 과인데 올해는...
-
。◕‿◕。 4
。◕‿◕。
-
과하지 않은걸루 샤인미 n제, 설맞이 아카이브 제외 쟤네보단 좀 더 어려웟음 좋겟음뇨
-
내려와 하얀 함박눈이 나비가 날아다니듯 하얀 눈꽃송이 세상이 온통 하얗게
-
행복해 。◕‿◕。
-
어느정도 급일 거 같음?
-
공대가시는 분들 9
미국박사 준비해보셈 제 남편이 미박 가있는데 매달 학교에서 장도 봐다줌 ㄷㄷㄷ
-
수2 구멍 0
수2 시발점 워크북푸는데 은근 모르는게 많아서 시발점이랑 같이 복습하면서 수2...
-
129.90 최초합은안됏겟죠
-
맞89 12
설뱃 달기 전에 저점매수하십쇼 잡담태그 잘 다는 분들 모십니다~
관계관형절에서 특정 성분이 생략될 때 그 성분은 피수식 체언과 동일하므로 생략됩니다. 일반적으로 '주어-서술어' ,'목적어-서술어', '부사어-서술어' 관계를 가집니다. 각각 예시를 들면 '빨간 꽃을 주었다(꽃이 빨갛다)', '영희는 철수가 던진 돌에 맞았다(철수가 돌을 던지다)', '문신을 새긴 팔에(문신을 팔에 새기다)'가 되겠습니다.
즉 '향기가 은은한 매화가 피었다'에서 피수식 체언은 '매화'인데 그렇다면 서술어인 '은은하다'와 주어의 형태로 대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 경우 그 자체가 주어가 되거나 주어의 일부가 될 수 있을 듯한데 둘 중 무엇으로 보아도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전자로 보면 '매화가 향기가 은은하다'라는 서술절을 안은 문장이 전체 문장의 주어인 '매화가'가 생략된 '향기가 은은한 매화'라는 관형절로 안기게 되고, 후자로 보면 '매화의 향기가 은은하다'라는 홑문장이 관형어 '매화의'가 생략된 '향기가 은은한 매화'라는 관형절로 안기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서술절은 안은 문장에선 일반적으로 서술절의 주어가 안은문장의 주어의 소유물이거나 구성요소이므로 '향기'가 '매화'의 일부분이란 점에서 개인적으로 서술절로 보는 것이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또 관형어가 생략되었다는 설명보다는 아예 조사까지 동일한 '매화가'가 생략되었다고 보는 것이 좀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견해 차가 있을 듯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