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칼럼] 오답률 83% 문항 풀게 해줌
게시글 주소: https://9.orbi.kr/00071500944
안녕하세요, 지구과외황입니다.
25학년도 수능 지구과학 영역에서 역대급 문항이 등장했습니다.
오답률이 83%로 이번 교육과정 역대 최고 오답률인데요,
외행탐같이 어렵게 출제되던 단원이 아니라 더 충격적입니다.
하지만 당해 9월 모의평가를 제대로 학습했다면
이 문항을 쉽게 풀 수 있었는데요,
오늘은 이 문항들을 풀이하면서, “우주 구성 요소” 문항의 풀이법과
지구과학을 학습할 때 견지해야 하는 태도를 배워보겠습니다.
먼저 “우주 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점검해보겠습니다.
1. 우주 구성 요소의 밀도 변화
우주 구성 요소는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를 뜻합니다.
우주 구성 요소에는 보통 물질,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가 있습니다.
보통 물질은 주변에서 쉽게 관측 가능한 전자, 양성자 등의 ‘물질’입니다.
암흑 물질은 눈으로 관측할 수 없는 미지의 ‘물질’입니다.
암흑 에너지 역시 눈으로 관측할 수 없는 미지의 ‘에너지’입니다.
이 세가지 구성 요소의 물리적 특성을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보통 물질은 광학적 관측이 가능하지만,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는 불가능합니다.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은 질량을 갖지만,
암흑 ‘에너지’는 질량을 갖지 않습니다.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은 인력을 발생시키고,
암흑 ‘에너지’는 척력을 발생시킵니다.
2. 우주 구성 요소의 밀도
먼저 밀도의 개념을 되짚어봅시다.
밀도는 (총량) ÷ (부피) 입니다.
이 때,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를 우주에 대입해도 똑같이 성립합니다.
우주 구성 요소의 밀도는 (우주 구성 요소의 총량) ÷ (우주의 부피) 입니다.
이 때, 우주의 부피는 은하 사이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합니다.
우주는 계속해서 팽창하므로, 우주의 부피는 계속 증가합니다.
이 때 어떤 요소의 밀도가 일정하다면, 요소의 총량은 증가합니다.
만약 어떤 요소의 총량이 일정하다면, 요소의 밀도는 증가합니다.
3. 우주 구성 요소의 밀도 변화
물질은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하므로, 총량이 항상 일정합니다.
이 때 우주의 부피는 계속 증가하므로, 물질의 밀도는 계속 감소합니다.
덧붙히면, 물질의 총량은 항상 일정하므로 비율도 일정합니다.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의 비율은 항상 1:5.5로 일정합니다.
암흑 에너지는 모든 공간에 균일하게 분포하며, 밀도가 항상 일정합니다.
이 때 우주의 부피는 계속 증가하므로, 암흑 에너지의 총량은 증가 합니다.
시간에 따른 우주 구성 요소의 총량과 밀도를 정리하면 표와 같습니다.
이 때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의 비는 1:5.5입니다.
[예제 1]
이제 앞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위 예제를 풀어보겠습니다.
B의 밀도는 두 시기에 동일하므로 B는 암흑 에너지이다.
A와 C의 밀도비는 5.5:1 이므로, A는 암흑 물질이고 C는 보통 물질이다.
물질의 밀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므로 (가)는 과거, (나)는 현재이다.
4. 은하 사이 거리, 우주 부피, 물질 밀도의 관계
은하 사이 거리, 우주 부피, 물질 밀도 사이에는 위 공식이 성립합니다.
이 때 물질의 총량은 일정하므로,
위 그림처럼 길이 : 부피 : 밀도 = 의 관계가 성립합니다.
[예제 2]
이제 앞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위 예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암흑 에너지의 밀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ㄷ은 0.21이다.
물질의 밀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므로 (가)는 (나)보다 과거이다.
이 기간 동안 물질의 밀도가 1/8배가 되었으므로 ㄴ은 0.67이다.
길이, 부피, 밀도의 비에 의해 (가) 시기 은하 사이의 거리는 0.25이다.
5. 문항 풀이
25학년도 9월에 출제된 문항입니다.
오답률에서 알 수 있듯 기출 문항에 유사한 문항이 없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시험장에서 풀기에 난해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먼저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현재 우주 구성 요소의 총 밀도가 1이므로 현재 B의 밀도는 0.68입니다.
이 때 B의 밀도는 두 시기가 동일하므로, B는 암흑 에너지입니다.
또, A와 C의 밀도가 5.5:1이므로 A는 암흑 에너지, C는 보통 물질입니다.
우주의 크기(=은하 간 거리)는 T시기부터 현재까지 2배가 되었으므로,
두 변수의 관계에 의해서, 물질 밀도가 1/8배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시기 A의 밀도는 2.16, C의 밀도는 0.40이다.
ㄱ. A는 암흑 물질이므로 중력 렌즈 현상을 통해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ㄴ.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암흑 에너지의 총량은 계속 증가한다.
ㄷ. 그림과 같이 T 시기에 차지하는 비율은 10%보다 높다.
만약 이 문항을 풀이하면서 얻은 교훈을 정리하고 연습했더라면,
오답률이 80%가 넘는 수능 문항도 문제 없이 풀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럼 처음 소개했던 오답률 82%의 문항을 풀어보겠습니다.
T2일 때, 우주 구성 요소의 총 밀도가 1이므로 A의 밀도는 0.67입니다.
A와 C의 밀도 비가 5.5:1이므로 A는 암흑 물질, C는 암흑 에너지입니다.
이때 B가 암흑 에너지이므로 T1시기 B의 밀도는 0.21이다.
T1 -> T2 시기에 물질 밀도는 1/8배가 되었으므로,
T1 시기 A의 밀도는 5.36이다.
이 때, 우주의 크기(=은하 간 거리)는 2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1 시기 우주의 크기는 0.25이다.
ㄱ. C는 보통 물질이므로 중성자를 포함한다.
ㄴ. 그림과 같이 A/B의 비율은 T1이 T2보다 크다.
ㄷ. 그림과 같이 T1 시기에 C가 차지하는 비율은 15%보다 작다.
6.결론
오답률에 비해 풀이 과정이 심하게 괴랄한 문항은 아니었습니다.
9평에서 문항을 풀이하면서 얻은 교훈을 잘 정리하고 연습했다면,
손이 빠른 친구는 1-2분 안에도 풀 수 있는 문항이었습니다.
알려드린 내용을 정리해서 다른 문항에도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질문이나 기타 문의가 있다면 DM 보내주세요.
‘지구과외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옯창빙고 4
비둘기는머임뇨
-
옯창빙고 ㅁㅌㅊ 2
살았다
-
통사랑 통과에서 지금처럼 무리하게 킬러를 낼 필요는 있을까 싶네요 현행 과탐처럼은 안 나올 듯
-
내가 미래보고옴 0
내일 스블 수1완강될거임
-
모든건 그곳에 두고왔다
-
휴 옯창 아니다 4
-
백분위87목표입니다!
-
미적과탐보고 정시로 입학해서 상경계열 2학년 재학 예정인데 쉽지 않은 건 알지만...
-
내가 인설대형 가서 부띠끄펌이라도 노려볼 리트였다면 2
뒤도 안돌아보고 서울대 갔을듯 능지가 안됨 능지가..
-
이번 수능 미적 집모로 2830틀인데 한완수 미적 끝내는데 어느정도 걸릴까요 학기...
-
생명을 다시 위대하게 화장연으로 단련된 감각적 직관으로 사탐침공할 리얼리스트들 개추
-
비룡장학금 받으면 등록금 내고 페이백 받는거임 아님 첨부터 돈 안내도 괜찮은거임?
-
덜 친할때 오히려 약간 애교체마냥 그런 느낌이 첨가되는 경우도 흔해요? 내가 이걸...
-
농베무지카 볼까 1
근대 왜 가면쓰고있지
-
잇올 시설 좋긴 하네요 ㅇㅅㅇ 생긴지 얼마 안된 곳이라 그런가
-
사탐런임? 아님 문과런임?
-
입문으로는 둘 중 뭐가 더 좋음?
-
라면먹어야지 0
캬캬
-
흉부외과나 신경외과 의사 되고 싶은데 엉엉..
-
의치약은 확통사탐 개방했는데 오히려 한의대만 미기과탐 제한 유지한게 개웃기네 ㅋㅋㅋㅋ
-
지금은 똥테 슈퍼하꼬
-
아 더 불리해지네 ㅠㅠ
-
복습 방법 질문 0
잘 알려져 있는 복습주기(3일,7일,30일)따르기 vs 자신이 까먹는 타이밍을...
-
오르비 평균 기준임 초인싸면 안가도됨 과오티- 그냥 가야 함. 가서 선배들이랑 안면...
-
이제 재수를 디폴트로 생각하게 되었어 그래서 06이 대학교 가는 게 뭔가 낯설었어
-
빌게이츠 이 개새끼야 12
어제 롱 들어갔다고
-
서울대 학부 - 수도권 로스쿨 - 검사 지방의 - 수도권 대학병원 전문의
-
1줄 요약 : 둘다 비슷한데...
-
어렵다 어려워 2
글 쓰는게 이렇게 어려운 것이었다니
-
검사에 대기업에 서울대에 그에 반해 나라는 새끼는
-
이번에 뭔가 사문 불안한데.... 메디컬 목표도 많이 보이고 국수잘 탐망들도 많이 보이고....
-
오운완 4
-
어디가낫다봄?
-
쌍지와 쌍사중 타임어택이나 변수 전혀 없고 1등급 제일 안전한게 뭔가요? 표점 백분위 신경 안써도됨
-
나중에 리트, 행시 등등 생각 있으면 확실히 이원준t가 좋음?
-
제 머리속에서 나온 뇌피셜 입니다 40-> 특목고 1.xx 등급, 일반고중 세특이...
-
쓰레기 같은 원단 옷을 몇십주고 샀다는 거 그 돈이면 떼잉.................
-
그냥 다음 교육과정 나오면 이렇게만 바꾸면 좋겠다 국회의원 선거구처럼 인구...
-
이신혁 T 수강 중이신 지구과학 잘하시는 분들 질문드려요 아폴로랑 칼레이도스코프...
-
인문논술 학원에서 채점해주는 점수 믿을만 할까요? 교수가 채점하면 더 점수...
-
어라 분명 작년에도 새내기였는데. 중고신입 이거 뭐지
-
4등급이 브크 들으면 괜찮을까요?
-
대학 라인 어디쯤 잡히나요?
-
취업시장에선 ㅇㄷ가낫다봄 ?
-
운동과 담 쌓고 살다가 전역하고 근래 4달 간 운동하면서 자존감이 많이 오름 우울한...
-
[칼럼예고] 대학 새내기를 위한 꿀팁을 Araboza 40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22학번 밥풀화2 입니다. 요 근래에 뻘글만 쓰다 보니...
-
교탁위에 무릎꿇고 올라가서 발 줠라 맞앗는데 아니면 집으로 빠꾸시키든가
5.5 대 1 암기 안하면 못 푸는 건가요?? 기출에 저 비율 암기해야만 풀리는 문제가 없어서 안 외웠는데 이런 건 어떻게 대비해야하나요??
사실 현재 보통물질:암흑물질:암흑에너지 = 5:27:68이라
과거에 암흑물질이 저정도 비율일 수 없다는 논리도 있는데,
저는 예전부터 1:5.5 썼는데 문제도 없고 간편해서 저런식으로 풀고 있어요
기출 문제 보시면
보통물질:암흑물질 비율 다 1:5.5로 맞춰서 줍니다
7H추를벅벅
암흑 물질이랑 보통 물질 각각 총량 안 변한다는 거만 알면 될 거 같은디
비율 알면 좋은게
나중에 매칭할 때 편해집니다!
맞아요 ㅎㅎ 실제 데이터를 크게 바꿔서 낼 리는 없으니
오 감사해요
저때 ㄱㄴ은 쉽게 풀었는데 ㄷ은 거의 찍듯이풀음
ㄷ이 킬러 선지긴 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