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점표점 73점을 무료로 드립니다 현역과 n수생 모두 참여 가능
-
다들 여기서만 착한척했던거야 와
-
기분이라도 좋게 제발...
-
면먹고갈래?
-
이쁘다
-
'해뜰날' 부른 가수 송대관 별세…트로트 사대천왕 활약(종합2보) 1
서민적 멜로디로 '유행가'·'네박자' 등 줄히트…2대 대한가수협회장 역임...
-
ㄹㅇ...
-
ㅇㅇ오늘은 언매와 수1을 햇음
-
디시는 좀 그럼 2
막..너무 그럼 좀
-
ㅋㅋㅋㅋ
-
영향력 있는 사람이 돼야 어디가서 나 오르비 했다고 꺼드럭거리고 다닐수있는거임
-
라고 생각하면 되는거죠? 안해본사람이없네 반갑노 ㅋㅋ
-
공부해라 2
아냐 그건 너무 교과서야
-
애니프사추천좀
-
답변좀요 !
-
장수생 고닉들 똥글 밖에 없던데
-
베토디 먹는중 1
섹스
-
머가 더 좋음 난 2
-
신데렐라보이이츠카아아, 모
-
디시하는도태한남젖괴들 ㅋㅋ 무한앤수박으면서인생낭비하노 ㅋㅋ 나는 올해 2년제 붙었다...
-
비판갤러리… 아싸라 올라올 리도 없겠지만 내욕하지마요 무서워요
-
경제라는 선택과목에 애정이 참 많은 1인으로서.. 수능 경제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
1월 1일부터 오늘까지 수학 시발점 미적-완료 뉴런, 시냅스,수분감 미적-3/4...
-
그후로 안감 그맛이 안난다고
-
성적표 뒤지러 갔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없는 거임 그제서야 생각나는 기억......
-
반갑노 게이야 ㅋㅋ
-
왜케 기만러의 아우라가.. 모고 다 11111111 뜨는거 아냐??
-
영상 ㅅㅂ
-
한 10번째쯤 볼 때는 내가 최강일 듯 Maybe.
-
썰듣고싶으면 댓 ㄱㄱ
-
우우 오뿡이 0
우우
-
합류할 사람 여기로 오삼
-
https://orbi.kr/00071893128/%EC%88%98%ED%95%99%...
-
너무 진지글만씀 0
똥글로 더시민다
-
개구랑 오르비랑 뭔 관계
-
진지하게 고민 3
재수하는 06입니다. 작년 수능 물리 48점으로 1등급, 지구 43점으로...
-
서연고성카 등등?
-
순애라는 장르는 왜 잇나요
-
영어 1의 필요조곤은 국어3등급임 을 설명하시다가 우리 이번에 헬스터디 5 2 아시겠죠?
-
시급 1.5에 진도 위주가 아니라 문제풀이 위주로 1시간 진도나가고 나머진 그거...
-
만약에 7
1.00받으면 무적임? 어디든 다 갈수 있는건가?
-
그대로템팔고접음메평ㅅㅂ
-
1. 신입생 : (입학성적×45÷전형별 만점)+거리점수+전입신고 가산점=총점 이...
-
애들 말투가 소위 애미가 뒤졌음
-
유대종 독서 6
유대종 독서 어떤가요?
-
모릅니다.. 이제 고2올라가는 예비고2인데 학교에서 1학년때 수상하랑 수1진도 다...
-
한번 태어났으면 1
한번쯤 낭만있게 도전하는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arrangements도 그러하다라는 것을 강조
여기서 so 품사가 뭐예요 전치사?
So는 부사입니다
lexico.com << 영어학습에 최고인데
so는 다른 품사도 있지만
저기서는 adverb(부사) 13번 뜻이네요
오오옹 감사합니다!!
고슴도치인 듯?
![](https://s3.orbi.kr/data/emoticons/dove/003.png)
내 굵@빵한 가시에 찔려볼텨?Hug.
So v s는 앞의 so 때문에 도치되누거 맞나요?
→ 부사 so가 '또한, 마찬가지로'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
so는 문두로 이동하며 그 뒤의 문장은 '의문문'이 됩니다.
그래서 so are the arrangements dynamic으로 써야 합니다.
그런데, so/neither 도치구문은 주어 뒤를 생략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예문에서도 so are the arrangements (dynamic)으로 쓴 겁니다.
그래서 겉으로 보기에는 so V S 처럼 보이니까 이것을 'so V S' 공식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있는데, S 뒤를 생략시키지 않고 그대로 적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여 'so V S' 공식은 바르지 않습니다. (단, 이때 V가 대동사일 때는 틀린 것은 아님)
![](https://s3.orbi.kr/data/emoticons/rabong/018.png)
감사합니다!!말미에도 적었지만, so[neither] V S 공식에서 V가 대동사라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어차피 이 대동사가 동사 뒤의 표현들(목적어든 보어든...)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V가 대동사가 아닐 경우, so[neither] + 의문문 구조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해당 개념을 'so[neither] + V + S'라는 공식으로만 단편적으로 알아둔다면 해석이 안 되는 경우도 있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so[neither] + V + S 표현을 보시면, 사실은 so[neither] + 의문문인데, 뭔가 겹치는 표현들을 생략하여 겉으로 보기에는 so[neither] + V + S처럼 보이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때 생략되는(=겹치는) 표현은 보통 앞문장에 사용된 내용입니다. 왜냐하면 이 표현 자체가 '(앞문장의 내용을) 공감'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앞문장에서 언급된 일부 표현들을 생략하여 'so[neither] + V + S'로 간단히 쓰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질문하신 문장에서도 so + V + S 뒤에 앞문장에 쓰인 표현인 dynamic(보어)이 생략된 것을 알 수 있는 겁니다.
열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