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디플레이터 왜쓰는거임?
게시글 주소: https://9.orbi.kr/00071800002
명목/실질gdp=물가지수
라는게 이해가 안가는데
명목은 물가상승률을 포함한거고
실질은 물가상승률을 제거한 거니까
근데 예를들어서 실질GDP 가 증가 한다고 하더라고 인구수 자체가 늘어나면은 뭐 만드는 거는 커지는데 사는 사람 숫자도 많아지고 하니까 그래서 물가 자체는 가만히 있는 거다.....
뭔가이해될랑말랑한다으에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다리는 맛이 없네 면접 결과를 몰라야 쫄리는 맛이 있는데
-
유령팔로워 1명
-
백분위 기준 언미물화 86 98 2 96 97
-
그러면 사탐서바 못구하는거?? ㅅㅂ 시대카르텔 척결좀!!!!
-
b: 나도 대학생입니다. (내 눈엔 문제 있어보인다) a: 그래서요? 뭐 어쩌란거임?
-
거리곱이랑 같은건데 좁게 쓰는거. 이런 상황에서 이 성립함을 쉽게 알 수 잇다....
-
코 붓기랑 얼굴 빨개지는거때메 금요일 과외는 에바인 것 같아서 월요일로 옮겼다...
-
나 6모 보지 말라고? ㅠㅠ
-
국어 윤혜정! 수학 한석원!! 영어 이명학!!! 생1 백호!!!! 화1 기상호!!!!!
-
여기가 시베리아인가요
-
열심히 3수해서 추합으로 합격 했습니다.
-
설경제 됨? 4
언 확 생윤 윤사 백분위 98 99 1 99 99 내신 cc인데 .. 걍 문 부셔버릴수있음?
-
화1 추천좀요 4
.
-
뭐지..
-
빠질분 두분이 다 붙으면 합격 한분이라도 못붙으시면 불합.. 피말리네요 아 근데 25%인건가?
-
고마웠어요 4
담에 봐요
-
…. 다들 추억을 가지고 살아가는데 나는 사실 오래된 기억들 빼면 중3 중후반부터는...
-
으헤헤
실질은 가만히 있는데 명목만 커지면 물가가 오르는거고
경제가 성장하는건 분모도 따라서 커지니까 쓰는거죠
근데 실제 경제 현장에서 쓰는진 모름..
거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지표고, 현장에서는 물가지수가 훨씬 더 많이 쓰여요
인구가 늘어나면 웬만해선 실질gdp도 늘어나죠
안늘어나면 그건 개인들은 더 거지가 된셈이니 물가가 높다고 봐도 되는 그런게 아닐까요